같이 배워봐요.

[모더나 백신 부작용] 모더나 백신 작용 원리와 효능

jihyenim 2021. 9. 23. 00:59
반응형

모더나 백신

오늘은 모더나 백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곧 백신을 맞아야 하는데 제가 맞을 백신이 모더나 백신이라고 문자가 오더군요.

백신 부작용 사례도 심심치 않게 들려오고 백신의 종류도 많으니 궁금해져서 직접 알아봤습니다.

모더나 백신 맞으실 분들 저랑 같이 공부해 봐요.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사진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모더나 백신


모더나 백신은 2회 접종 필수입니다.

1차 접종 후 4주가 지나고 2차 접종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백신 부족으로 1차 접종 후 6주가 지나고 2차 접종을 합니다.

하지만 이제 2차 접종에서도 잔여백신을 사용할 수 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모더나 백신은 1차 접종 후 4주가 지나면 2차 접종 예약이 가능한데,

네이버나 카카오 앱 등을 이용해서 잔여백신의 당일 예약이 가능하다고 하니 많이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모더나 백신은 2차 접종 후 2주 후부터 4개월까지 효능이 93%이고,

4개월 이후에도 92%의 효능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얀센이나 화이자보다도 높은 효능을 나타냅니다.

 

 

모더나 백신 (mRNA 백신)의 작용 원리

모더나 백신의 작용원리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먼저 알아야겠죠?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 몸의 면역반응


바이러스나 세균이 우리 몸에 들어오게 되면 우리 몸의 세포에 자신의 유전정보를 삽입하여 세포를 공격하고, 증식도 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우리 몸의 대식세포라고 하는 세포가 바이러스를 잡아먹고, 그 일부를 항원으로 내보냅니다.

항원이 나타나면 우리 몸은 그 항원을 적으로 인식하고 항체를 생성해서 항원을 공격합니다.

이 과정을 기억 세포인 T세로가 기억했다가 동일한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기억했던 항체를 바로 생성시켜 항원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겁니다.

 

 

 

기존의 백신은?


코로나19 mRNA 백신이 나오기 전 기존의 백신은 어떤 원리였을까요?

생백신, 사백신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기존의 백신은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시켜서 만든 생백신을

우리 몸에 주입해 면역을 유도하거나,

바이러스를 죽여서 만든 사백신을 우리 몸에 주입해 면역을 유도했습니다.

생백신이나 사백신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위에서 알아봤던 면역체계가 작동합니다.

하지만 독성이 약화되거나, 죽은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작동돼서 항체는 생성되지만 그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공격성은 없거나 낮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백신을 맞고 나서 발열 증상이 나타나는 등 가볍게 앓으면

항체가 잘 생성되고 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그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빨리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mRNA 백신이란?


 

이번에 우리가 맞게 될 모더나 백신은 mRNA 백신입니다.

백신을 맞게 되면,

백신에 있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mRNA가 우리 몸의 세포에 전달됩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mRNA가 전달된 세포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생성합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 단백질이 생성되면 우리 몸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단백질을 적으로 인식하고

위에서 보았던 면역체계를 작동시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항체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역시, 이 과정에서 발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를 전달하는데 위험하지 않나?

라는 의문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찾아봤는데요, 우리가 접종하게 되는 백신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정보가 들어있다고 합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이란 바이러스가 자신의 유전정보를 숙주세포에 전달하기 위해

숙주세포의 세포막에 바이러스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백질입니다.

mRNA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서

우리 몸의 세포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결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공부한 김에 조금 더 알아보면

바이러스가 우리 몸의 세포와 결합해 자신의 유전정보를 주입하고, 복제한 다음

복제한 유전정보를 다시 바이러스 껍데기로 가지고 오는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를 괴롭히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들이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겨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백신 접종 사진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예방 접종

 

 

 

모더나 백신 부작용

이제 모더나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더나 백신의 대표적인 부작용


모더나 백신 부작용은 대표적으로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이 있습니다.

 

 

1. 가슴통증

가슴이 압박되는 느낌과 함께 불편함을 호소하는 부작용이 많이 있습니다.

 

 

2. 호흡곤란

호흡곤란으로 숨이 가쁘고, 호흡할 때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3. 심근염 및 심낭염

청소년과 젊은 연령층의 남성에게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심근염과 심낭염은 2차 접종 시 더 많이 나타나는 모더나 백신 부작용입니다.

 

 

심근염이란?

심장 근육 (심근)에 염증이 생겨 심근이 손상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 경우 심장의 수축과 이완 기능이 저하되면서 메스꺼움이나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낭염이란?

심장을 싸고 있는 심낭에 염증이 생겨 심장의 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흉통이 있습니다.

침을 삼키거나 기침을 할 때, 가슴을 비트는 동작을 할 때 심해지며

앉거나, 상체를 앞으로 구부릴 때 통증이 완화된다고 합니다.

 

모더나 백신 부작용으로 심근염과 심낭염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휴식과 약물치료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2주 이내에 좋아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점점 심해질 경우 뇌졸중,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하니 

백신 접종 후 자신의 상태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4. 발진

주사를 맞은 팔에 붉은 발진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 부작용은 모더나 백신에서만 나타나는 모더나 백신 부작용이라고 합니다.

모더나 백신 접종 후 4일에서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간혹 2주 후에 발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통증과 가려움을 동반하며, 증상이 악화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백신 접종 전 내가 맞을 백신에 대해 알아보니 마음이 한결 편해집니다.

1차 접종 후 후기도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어서 빨리 코로나19로부터 자유로워졌으면 좋겠습니다.